• 계정에 관리자 권한 주기 (계정 myid)
sudo usermod -aG docker myid

 

 

1. helloworld.rs

fn main() {
    // Print text to the console
    println!("Hello World!");
}

 

2. Build

> rustc hello.rs

 

3. Run

> Helloworld
Hello World!

 

Windows 10 에서 shift + 마우스 우측 버튼으로 실행되는 메뉴에서 

"여기서 명령창 열기" 메뉴가 PowerShell 로 바뀐 경우,

"여기서 명령창 열기" 메뉴를 추가하는 방법

 

[설정]

 : set_cmd.reg 파일에 아래 내용을 저장하고 탐색기에서 실행~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prompt]
@="@shell32.dll,-8506"
"Extended"=""
"NoWorkingDirectory"=""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prompt\command]
@="cmd.exe /s /k pushd \"%V\""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cmdprompt]
@="@shell32.dll,-8506"
"Extended"=""
"NoWorkingDirectory"=""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cmdprompt\command]
@="cmd.exe /s /k pushd \"%V\""

[HKEY_CLASSES_ROOT\Drive\shell\cmdprompt]
@="@shell32.dll,-8506"
"Extended"=""
"NoWorkingDirectory"=""

[HKEY_CLASSES_ROOT\Drive\shell\cmdprompt\command]
@="cmd.exe /s /k pushd \"%V\""

[해제]

 : unset_cmd.reg 파일에 아래 내용을 저장하고 탐색기에서 실행~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prompt]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cmdprompt]

[-HKEY_CLASSES_ROOT\Drive\shell\cmdprompt]

윈도우 설치하려고 집에 뒹글뒹글하던 64기가 sandisk USB를 윈도우 설치 USB로

만든 이후 부터, 이녀석이 TV에 꽃으면 인식이 안된다.

USB를 FAT32로 포맷해도 안되고,

USB를 NTFS로 포맷해도 안되고,

포맷할때 할당크기를 바꿔봐도 안되고,

인터넷이 여러 방법들을 해봐도 안된다.

그래서, Martik USB Disk Formatter 프로그램으로 포맷하려고 보니,

디스크 쓰기 금지가 되어 있다고, 포맷이 안된단다.

그래서 USB 로우 포맷툴을 받아서 로우포맷을 한 후에, 

Martik USB Disk Formatter 으로 NTFS로 포맷하니 

TV에서 인식이 잘된다.

주의~ USB 디스크를 잘 확인하고 포맷해야한다옹,

        실수로 다른 디스크를 포맷하면 돌이킬 수 없다옹~~

 

USB 로우 포맷툴은 아래 경로에서 받으시고, 사용법은 인터넷에 많이 있으니 참고하세옹

https://hddguru.com/software/HDD-LLF-Low-Level-Format-Tool/

 

HDDGURU: HDD LLF Low Level Format Tool

HDD LLF Low Level Format Tool Low Level Format Tool — Click to enlarge Developer: HDDGURU.COM License terms: Free for personal/home use (speed is capped at 180 GB per hour which is 50 MB/s) Just $3.30 for personal/home use (no speed limit): Order Personal

hddguru.com

 

1. docker-compose 소스 다운로드

$ git clone https://github.com/docker/compose.git
$ cd compose
$ git checkout release

 

2. docker-compoase 빌드 준비

$ cp -i Dockerfile Dockerfile.armhf
$ sed -i -e 's/^FROM debian\:/FROM armhf\/debian:/' Dockerfile.armhf
$ sed -i -e 's/x86_64/armel/g' Dockerfile.armhf

 

3. build and install docker-compose

$ sudo docker build -t docker-compose:armhf -f Dockerfile.armhf .
$ sudo docker run --rm --entrypoint="script/build/linux-entrypoint" -v $(pwd)/dist:/code/dist -v $(pwd)/.git:/code/.git "docker-compose:armhf"

 

4. docker-compose 버전 확인

docker-compose version

1. 설치 프로그램   

Nginx 
PHP 
MariaDB 

 

2. git 설치

sudo apt install git

 

3. docker 저장소 복제

git clone https://github.com/awesometic/docker-armhf-lemp.git

 

4. 저장소로 이동

cd docker-lemp-armhf

 

5. 저장소의 docker 이미지 설치

sudo apt install docker docker-compose

 

6. docker 이미지 실행

docker-compose up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compose 설치 하기  (0) 2019.11.11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안 설치하기  (0) 2019.08.27

1. 구글 ( https://www.google.com )

     

2. 얀덱스 ( https://www.yandex.com )

1.  네트워크 재시작 명령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2. IP, NETMASK설정
    ifconfig eth0 192.168.1.123 netmask 255.255.255.0 up

 

3. GATEWAY설정은 route명령으로~
    route add default gw 192.168.1.1

  • 모드
    • 명령모드
      • 기본모드, 
      • 커서이동: h(좌), j(아래), k(위), l (우)
      • yy : 커서가 위치한 줄을 버퍼에 복사
      • p : 버퍼에 있는 내용을 커서 위치에 복사
      • u : 되돌리기
      • x : 커서위치 문자 삭제
      • 복사 / 붙이기
        • v 키입력: 회색블럭이 잡힘
        • 화살표로 이동하여 영역지정 (취소는 esc키)
        • y 키입력: 복사 (yank:잡아채다)
        • 붙여넣을 곳으로 이동
        • p 키입력: 붙여넣기(put)
    • 입력모드
      • 명령모드에서 i, I, o, O, a, A 키입력시 입력모드가됨
    • 확장모드
      • :w 저장
      • :wq 저장하고 종료
      • :q!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 모드 전환
    • 명령모드 -> 입력모드 : i, I, o, O, a, A 입력
    • 입력모드 -> 명령모드 : esc키 입력
    • 명령모드 -> 확장모드 :  콜론(:)입력후 명령어 입력 
  • 파일 열기
    ex) vi test.txt
  •  

라즈베리파이 3 B+ 에 라즈비안을 설치해본다옹

설치 환경

   라즈베리파이 3 B+

   Windows 10 x64

 

1. 라즈비안 다운로드

     2019-07-10-raspbian-buster-lite.zip 을 설치했음

 

2. Win32DiskImager 로 이미지 준비

   꼭~ Win32DiskImager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3. putty로 SSH 연결 준비

   라즈베리파이 SD카드의 boot 드라이브에 ssh 빈파일 생성

   참조: http://egloos.zum.com/eyes33/v/6089625

 

4. putty로 접속

   기본 계정 : pi

   비밀번호  : raspberry

 

5. root 계정 활성화

   sudo passwd root

   su    // root 권한으로 로그인

   * 추후 재접속시 pi 로 로그인후에 su 실행후 root 비밀번호 입력

     putty로 root로 바로 로그인하려면, 추가설정 필요

 

6. 고정 아이피 설정

   vi /etc/dhcpcd.conf 아래 내용 추가

interface eth0

static ip_address=192.168.1.23/24

static routers=192.168.1.1

static domain_name_servers=168.126.63.1 168.126.63.2  8.8.8.8 

   재부팅: sudo reboot 

 

7. pi 계정 삭제

1. pi 비밀번호 변경
   sudo passwd pi

2. 새로운 계정 추가
   sudo adduser {userid}

3. 추가된 계정을 sudo 그룹에 추가하여 권한 추가
   sudo addgroup {userid} sudo

4. 재시작하여 추가된 아이디로 로그인
   reboot

5. pi 계정 삭제
   sudo deluser --remove-all pi

7. SSH 포트 변경

1. 포트 변경
   sudo vi /etc/ssh/sshd_config
   의 port 값 설정
   sudo nano /etc/services
   에서 ssh 값을 위와 동일하게 설정

8. nslookup 을 사용하려면~ 설치~

   sudo apt-get install dnsutils


9. Docker 설치하기

curl -sSL https://get.docker.com | sh

10. Docker 버전확인

    docker version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compose 설치 하기  (0) 2019.11.11
라즈베리파이 웹서버 구축해보기  (0) 2019.11.10

+ Recent posts